업계, "지분매각 실제로 이뤄질지 의문"

[데일리로그 = 김수란 기자] 흥아해운의 경영권을 인수하겠다고 계약금을 지불한 '카리스국보'가 어떤 회사인지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흥아해운을 인수하겠다고 발표한 15일, 공교롭게도 이 회사는 공시 번복에 따른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 예고됐으며, 올해에만 대주주가 4차례나 바뀌는 등 예사롭지 않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카리스국보는 흥아해운의 대주주일가가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공표한 지난 15일 자사 공시를 통해 불성실공시법인지정을 예고했다.

불성실 공시 사유로는 카리스국보(옛 국보)의 모회사인 '카리스'가 지난 7월 25일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전용도로에 자사의 PVC가드레일을 공사하는 400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으나, 지난 15일 해당 계약이 최종 해지됐다고 재공시 했기 때문이다.

공시에 따르면, 카리스는 7월 25일 우즈베키스탄의 공사를 수주했고 8월 25일 계약금의 10%인 40만 달러가 입금됐다. 이후 지난달 2일 갑작스럽게 계약상대측이 제품 요구사항 변경을 요청해 납품이 늦어져 계약기간이 10월 24일에서 2020년 1월 24일로 연장됐지만, 생산 완료 후 지급키로 했던 중도금 160만 달러를 10월 25일 지급예정이라고 변경했다.

그렇지만 지난달 25일 약속했던 중도금이 지급되지 않은데 대해 28일 계약상대방의 주요 계약위반사항이 발생했으며, 최종 기한인 지난 15일 발주처의 계약불이행에 따라 계약이 최종 해지됐다고 공시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계약이 해지된 15일, 이 회사의 자회사인 카리스국보는 흥아해운 대주주 지분을 매입해 종합물류업체로 변신하겠다고 공표했다.

‘국보’의 주인이 올해에만 4번이나 바뀐 내용에 대해서도 의문이 일고 있다.

당초 흥아해운은 지난 4월 자회사인 국보를 사모펀드인 제이에스프라이빗에쿼티에 매각했으나, 3개월이 지난 7월 이 사모펀드가 결성한 투자회사의 지분 22.53%를 PVC전문업체인 카리스가 재인수해 '카리스국보'로 사명을 변경해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카리스는 이 회사의 대표이사인 유 모 회장이 지분 92%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지난 8일 카리스국보는 코어센드 유한회사로부터 500억 원의 자금조달을 통해 최대주주가 변경된다고 알렸다. 회사측은 500억 조달로 타 법인 인수를 추진하겠다고 공표했으며, 지난 15일 해당 법인이 흥아해운이라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4번째 주인이 될 코어센드 유한회사는 유상증자를 통해 카리스국보 지분 40.15%를 확보할 계획이며, 자금 납입일은 내달 20일이다. 흥아해운 지분 매각 잔금 지급일은 자금 조달 4일 후인 24일이다.

코어센드 유한회사는 현재로선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김 모씨와 또 다른 김 모 씨가 각각 40%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이며, 신 모 대표가 10%를 보유하고 있다. 또 최대 주주인 두 김 씨와 또다른 성이 같은  K씨가 사내이사로 등재돼 있는 정도이다. 

신 모 대표는 이 회사 말고도 코어센드커머스, 코어센드캐피탈파트너스(유)의 대표도 겸직하고 있으며, 이들 법인에도 모두 K씨가 사내이사로 있다. K씨는 코어센드글로벌 대표이며, 이들 4개 법인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 소재 한 빌딩으로 등록돼 있는 등 가족회사로 추정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코어센드라는 정체불명의 회사에서 500억 원을 받아서 흥아해운의 인수 잔금을 치르겠다고 하는 것 같은데, 앞서 대규모 해외 수주가 몇 달만에 취소됐다는 회사가 500억 원을 투자받아 흥아를 인수하겠다는 것부터가 무언가 석연치 않다”며, “관심있게 찾아보면 인수자가 이런저런 복잡한 사연이 있는 회사라는 것을 모를 수 없을 것인데, 어쨌든 결과는 내달 24일 흥아의 인수대금을 치를지에 대한 결론이 나오지 않겠냐”고 말했다.

한편, 정부자금 400억 원을 지원받자 마자 회사 분할 이후 대주주 지분매각을 강행하면서 사실상 흥아해운이 공중분해 될 위기에 처하자 비난의 화살이 해양수산부로 향하고 있다.

관련 업계 대다수 관계자들은 “해수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핵심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 장금·흥아 컨테이너 통합이 사실상 흥아해운을 공중분해에 이르게 했다”며,  “정책 관계자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